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2

애드몹 비딩 방식 vs 워터폴 방식

애드몹에서 사용하는 비딩 방식(Bidding)과 워터폴 방식(Waterfall)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1. 비딩 방식 (Bidding, 오픈 비딩)비딩 방식은 광고 수익화에 있어 효율성을 높이는 새로운 방식입니다. 비딩에서는 광고 요청이 발생할 때 각 광고 네트워크가 실시간으로 입찰하여 가장 높은 금액을 제시한 네트워크가 광고를 표시하게 됩니다. 이 방식의 핵심은 경쟁을 통한 실시간 입찰입니다.실시간 입찰: 광고 네트워크가 실시간으로 경매 방식으로 입찰하여 광고 노출권을 확보합니다.최적화된 수익: 광고주가 더 많은 금액을 제시할 경우 광고가 우선적으로 노출되므로, 출판사(퍼블리셔)는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효율성: 광고 요청마다 실시간으로 최적의 입찰가를 제안받기 때문에 워터폴 방..

게임개발 2024.10.14

빅쿼리 BigQuery 사용 방법 (Firebase Analytics 연동)

BigQuery는 Google Cloud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데이터 웨어하우스로, 대규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Firebase Analytics와 연동하면 BigQuery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SQL 쿼리를 통해 세밀하고 복잡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Firebase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분석 도구를 넘어서 더 강력한 분석을 원할 때 BigQuery가 유용합니다. 다음은 Firebase Analytics 데이터를 BigQuery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1. Firebase와 BigQuery 연동하기1.1 Firebase 프로젝트에서 BigQuery 연결Firebase 콘솔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선택합니다.왼쪽 메뉴에서 Analytics > Big..

게임개발 2024.10.13

Firebase Analytics 커스텀 이벤트 추가하기

기본적인 데이터(앱 설치, 앱 열기, 세션 시작, 사용자 수, 인앱 구매 등)는 Firebase Analytics 초기화만 하면 자동으로 수집됩니다. 그래서 초기화 이후에 추가로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주로 게임 내에서 중요한 사용자 행동을 추적하기 위한 커스텀 이벤트 추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수집되는 데이터앱 설치: 사용자가 앱을 설치할 때 자동으로 수집됩니다.앱 열기: 사용자가 앱을 실행할 때 수집됩니다.세션 시작: 사용자가 앱 내에서 세션을 시작하면 자동으로 추적됩니다.앱 업데이트: 사용자가 앱을 업데이트했을 때 수집됩니다.사용자 수: 활성 사용자 수와 사용자 잔존율 같은 정보도 자동으로 집계됩니다.인앱 구매: 인앱 결제와 같은 이벤트는 자동으로 수집됩니다. 추가로 신경 써야 할 부분: 커스텀..

게임개발 2024.10.11

Firebase Analytics 연동 방법

Firebase Analytics를 개발 중인 모바일 게임과 연동하는 것은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게임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Firebase Analytics는 Android, iOS, 그리고 Unity와 같은 플랫폼에 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Firebase Analytics를 모바일 게임과 연동하는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1. Firebase 프로젝트 생성Firebase Analytics를 게임에 통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Firebase 콘솔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해야 합니다.Firebase 콘솔에 접속하여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프로젝트 추가를 클릭한 후, 게임 프로젝트 이름을 지정하고 Firebase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프로..

게임개발 2024.10.10

Firebase Analytics와 Google Analytics 차이

Firebase Analytics와 Google Analytics는 모두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도구이지만, 주요 목적과 제공하는 기능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두 분석 도구는 각기 다른 유형의 프로젝트와 사용자 요구에 맞게 설계되었으며, 특히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 분석에 있어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1. 목적 및 타겟 사용자Firebase Analytics모바일 앱과 게임을 위한 분석 도구로, 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대상으로 합니다.앱 내에서의 사용자 행동, 이벤트, 인앱 구매 등을 분석하여 앱 성능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게임 개발자와 모바일 앱 개발자가 앱 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광고나 앱 내 구매와 같은 수익화 전략을 개선하는 데 유용합니다.Goog..

게임개발 2024.10.10

파이어베이스 Firebase 요금 정책 정리

파이어베이스(Firebase)는 무료 요금제와 유료 요금제를 제공합니다. 프로젝트의 규모나 필요에 따라 무료로 시작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기능에 따라 유료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파이어베이스 요금 정책을 주요 서비스별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Firebase 요금제 종류Spark 요금제 (무료): 시작 단계에 적합하며, 소규모 애플리케이션이나 테스트 프로젝트에 유용합니다.Blaze 요금제 (유료, 종량제):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 요금제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2. Firebase 서비스별 요금 구조2.1 Firebase Authentication (사용자 인증)Spark 요금제 (무료)이메일/비밀번호, 익명 로그인: 무료소셜 로그인 (Google, ..

게임개발 2024.10.09

파이어베이스 Firebase 활용 방법

파이어베이스(Firebase)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으로, 모바일 게임 개발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파이어베이스는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애널리틱스, 푸시 알림, 클라우드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게임 개발의 여러 측면에서 도움을 줍니다. 아래에서 모바일 게임 개발에서 파이어베이스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파이어베이스 설정 및 연동파이어베이스를 모바일 게임에 활용하려면 먼저 프로젝트를 파이어베이스 콘솔에 등록해야 합니다.1.1 파이어베이스 프로젝트 생성Firebase 콘솔에 로그인한 후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프로젝트에 게임의 이름을 지정하고, 원하는 플랫폼(Android, iOS 등)을 선택합니다.1.2 SDK 통합파이어베이..

게임개발 2024.10.08

MS Excel 엑셀 파일 확장자 총정리

엑셀은 확장자가 너무 다양해서, 외우고 돌아서면 헷갈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총정리를 해드릴테니 앞으로는 헷갈리지 마시고 확장자만 보고도 파일 종류를 구분해내시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엑셀은 Microsoft에서 개발한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합니다. 아래는 주요한 엑셀 파일 포맷에 대한 설명입니다. XLS (Excel Spreadsheet) 확장자: .xls 초기 버전의 엑셀에서 사용되는 파일 형식으로, 바이너리 형태의 저장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최근 버전의 엑셀에서는 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XLSX (Open XML Spreadsheet) 확장자: .xlsx 현재 주로 사용되는 엑셀 파일 포맷으로, Office Open XML(OOXML) 스탠..

IT 일반 2024.02.14

모바일 게임 성과 마케팅의 비밀, 퍼포먼스 마케팅

모바일 게임 성과 마케팅 또는 퍼포먼스 마케팅이라고 불리는 마케팅 기법은 스마트폰 모바일 게임의 태동과 함께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온 마케팅 기법입니다. 기존의 마케팅에 비해 성과 마케팅은 그 이름이 말해주는 것처럼 성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마케팅 기법이라는 측면에서 수익성에 즉각적이며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습니다. 성공적인 성과 마케팅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정리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사용자를 끌어모으는 전략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아래 유형 중 하나에 속합니다. 이런 전형적인 방식 외에 자신만의 특별한 방식을 발굴한다면 압도적인 효과의 마케팅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성공을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실험이 필요하겠죠. 인플루언서 마케팅, 모바일 게이머들에게 인기가 많은 인플루언서를 활용하..

게임개발 2024.02.14

게임 출시 전, 성공 가능성 확인을 위한 테스트 마케팅

게임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전 성공 가능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 글에서는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보통 게임을 출시하면 마케팅을 진행하게 되는데, 마케팅을 통해서 어느 정도의 비용으로 유저를 게임에 유입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그렇게 유입된 유저가 얼마나 게임에 오래 안착해서 얼마나 과금을 하는지를 통해서 게임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보면 됩니다. 게임에 얼마나 오래 안착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얼마의 지출을 평균적으로 하는지는 게임을 출시하기 전까지 알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게임을 출시하기 전이라도 게임의 컨셉을 잘 설명한 마케팅 크리에이티브를 통해 테스트 광고를 집행해보면 해당 게임을 완성한 후 본격적으로 마케팅을 시작했을 때의 유저 반응을 대략적으로..

게임개발 2024.01.08
반응형